남북한문학사의 특징 비교 업로드
 



[목차]
 

Ⅰ. 남한 문학사의 특징

1. 문인위주의 작품 기술

2. 민족문학적인 순수지향성

Ⅱ. 북한 문학사의 특징
1. 집필체계부터 철저하게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 기록
2. 문학 밖의 특정인 위주로 편술

3. 문학사적인 사실이 기술의 각도에 따라 수시로 변동

4. 항일혁명문학이 문학사의 중심




이런 특징은 일제강점하에서 간교한 검열제도 등으로 끊임없이 규제 받던 특수 여건 속에서 행해진 문학운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취약점이 되는 면도 없지 않다.

2. 민족문학적인 순수지향성
남한의 현대문학사는 그 주된 흐름을 예의 계급주의적인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민족문학적인 순수지향성을 띠고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20년대 중엽부터 팽팽하게 대립해오던 카프파의 프로문학 추종자들이 월북하여 북한문학의 주류를 형성한 것과 대조된다. 역시 민족문학파 성향을 지닌 문인 중심으로 계급투쟁과 항일적인 것보다는 본격문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래서 30년대 문학을 다루는데 있어서도 북한에서는 카프가 지하조직화해서 반대되는 시각을 보인다. 즉, 30년대 문학이란 카프가 퇴조하고 새로 순수본격문학이 무르익은 성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남한의 문학사 기술은 특정한 문인이나 일정작품을 중요시하는 북한의 그것과는 대체로 대조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Ⅱ. 북한 문학사의 특징

1. 집필체계부터 철저하게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 기록
예의 주체사상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북한 문예학자 집단이 집체적으로 서술한 {조선문학통사} 서문에서도 `당의 문예정책을 관철하는 과학적 문학사`라고 했지만 그것이 유일사상으로 강화된 이후에 나온 {조선문학사}(전5권)에서는 더욱 더 `우리 인민의 투쟁의 역사, 창조의 력사를 깊이 연구할 데 대한 교시를 높이 받들고 (중략) 서술 전반에서 주체의 방법론을 구현`시키고 있다.
이렇게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 위주로 공식적인 기관의 통제 밑에서 이루어진 文學史이므로 우리는 이의 受容에서 그 정치목적적인 合一性을 경계해야 마땅한 것이다.

 

남북한문학사의 특징 비교.hwp 남북한문학사의 특징 비교.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