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다운로드 수학 - 수와 식에 대하여 업로드
 



[목차]

수와 식에 대하여

1. 이항연산과 실수의 대소 관계y

◈ 이항연산 : 집합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① 일 때, 는 연산 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한다.

        ② 일 때, 를 항등원이라 한다.

        ③ 일 때, 를의 역원이라 한다.

◈ 실수의 대소관계 :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① ②

        ③

2. 절대값과 절대값 성질

◈ 절대값 : 수직선 위에서 실수 에 대응하는 점을 라 할 때, 에서 점 까지의 거리 를 의 절대값이라 하고, 기호 로 나타낸다.
◈ 절대값의 성질

        ① ②

        ③ ④

3. 복소수

◈ 복소수 : 두 실수 에대하여 로 나타낸 수
복소수허수실수
◈ 복소수의 상등
가 실수일 때

        ①

        ②

◈ 복소수의 연산
(복부호 동순)
◈ 복소수의 성질
이고 는 실수일 때

        ① ②

        ③ (실...




수와 식에 대하여
1. 이항연산과 실수의 대소 관계y
◈ 이항연산 : 집합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① 일 때, 는 연산 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한다.
② 일 때, 를 항등원이라 한다.
③ 일 때, 를의 역원이라 한다.
◈ 실수의 대소관계 :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① ②


2. 절대값과 절대값 성질
◈ 절대값 : 수직선 위에서 실수 에 대응하는 점을 라 할 때, 에서 점 까지의 거리 를 의 절대값이라 하고, 기호 로 나타낸다.

◈ 절대값의 성질
① ②
③ ④
3. 복소수
◈ 복소수 : 두 실수 에대하여 로 나타낸 수


복소수
허수
실수

◈ 복소수의 상등
가 실수일 때


◈ 복소수의 연산
(복부호 동순)


◈ 복소수의 성질
이고 는 실수일 때
① ②
③ (실수의 켤레복소수는 실수 자신)

◈ 복소수의 성질
일 때
① ② 의 제곱근은


4. 인수분해
◈ 인수분해 공식
① (복부호 동순)
② (복부호 동순)

④ (복부호 동순)
⑤ (복부호 동순)



5. 곱셈 공식의 변형
◈ 곱셈 공식

② (복부호 동순)




6. 항등식의 성질
◈ 항등식의 성질(관해)



◈ 미정계수법
① 계수비교법 : 양변의 같은 차수를 비교하여 계수를 구하는 것
② 수치대입법 : 양변의 문자에 적당한 수를 대입하여 계수를 구한다.…(생략)

 

[사회과학]수학 - 수와 식에 대하여(2).hwp [사회과학]수학 - 수와 식에 대하여(2).hwp [사회과학]수학 - 수와 식에 대하여(2).hwp [사회과학]수학 - 수와 식에 대하여(2).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