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다운받기
 



[목차]

▶ 병태생리

1. 뇌경색 (=중풍)

2. 뇌경색의 증상

3. 뇌졸중의 진단

4. 뇌경색의 치료

5. 일반적 치료 및 재활, 간호

<간호 과정>
■ 간호력
1. 개인력
2. 신체 검진
3. 일상 생활 습관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 기타 자료 - 지남력 테스트
■ 투약
5. 간호 과정



2) 이학적 검사
전반적인 내과적 진찰을 말하고 뇌졸중은 고혈압, 당뇨, 부정맥 등이 자주 동반되므로 이와 관련된 사항을 세심하게 살펴봅니다. 특히 목에서 혈관의 박동을 청진하는데 경동맥이 동맥경화 등으로 좁아지면 맥박에 맞추어 `쉭, 쉭`거리는 소리가 들리게 됩니다.

3) 신경학적 검사
신경계 질환에 대한 특수 진찰로서 망치나 바늘, 소리굽쇠 같은 여러 가지 기구를 이용합니다. 이와 같이 문진, 이학적 검사, 신경학적 검사 등으로 뇌혈관 질환의 종류 뿐 아니라 위치까지도 짐작하게 됩니다.

4) 뇌혈관 질환 때 이용하는 특수 검사들
• 전산화 단층 촬영(Brain CT)
발병했을 때 초기에 출혈인지 혹은 경색인지를 쉽게 감별하고 병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병변의 진행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뇌경색은 발병 초기 수시간 이내에는 정상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24시간 경과한 뒤에는 대개 그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과성 허혈이나 뇌간경색 또는 아주 경미한 병소는 잘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검사 시간은 약 10-15분이 소요된다.
•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MRI는 뇌경색 발병 30분 후부터 병변을 볼 수 있고 수시간 이내에는 대부분 확인할 수 있으며, 뇌간의 병소도 정확히 보여 CT보다 우수한 면이 있다. 또한 뇌졸중에 동반된 부종을 확인하고, 출혈 병변에서 시간 경과와 원인을 추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밖에도 내경 동맥이나 기저동맥의 폐색이나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주위 조직에서 혈관을 분리하여 영상을 얻는 자기공명혈관조영(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MRA)이 개발되어 비침습성 검사로 경동맥 및 뇌기저부 혈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 기존의 혈관조영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대신할 수 있다. 검사는 30분 이상에서 여러 특수 검사를 같이 할 경우 1시간 가량이 걸립니다.
• 혈관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혈관변화 및 측부순환의 정도 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퇴동맥…(생략)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