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을 이용한 효과적인 수면 조절 레폿
빛을 이용한 효과적인 수면 조절
Effective Control of Sleeping using the Light
잠의 중요성
physical Advantage
- 성장
- 성호르몬 분비
- 면역력 활성물질 분비
Mental Advantage
- 뇌의 휴식
- 기억력 정리
측정항목: 뇌파(EEG), 안구운동(EOG), 하악 근전도(Chin EMG), 다리 근전도(Leg EMG), 심전도(EKG), 코골이(Snoring), 호흡(Respiratory Airflow), 호흡 운동(Respiratory Effort), 혈중산소포화농도(Oxymeter)멜라토닌이란
-뇌의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분비 -밤에 집중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
-생체 리듬을 조절→밤에 수면 유도
-멜라토닌↑ →우울증 발생
↔멜라토닌↓ →불면증 유발
멜라토닌 생성 빛과 관련
MEMO
연구 내용
-가설의 검증
a. 취침 전 한두 시간 전에 빛의 노출을 최소화 → 숙면
b. 수면 중, 빛을 비춤 → 숙면
c. 기상 전 쪼이는 빛→자연스러운 기상
d. 평소에 쪼이는 빛의 강도와 시간 조절 → 밤에 숙면
-검증된 가설의 적용
검증된 가설과 설문을 통한 디자인과 마케팅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효과적인 수면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을 만든다.
수면다원검사
검사를 받는 피 실험자가 숙면을 취하고 있는 지, 수면 장애는 없는 지 알아보는 검사이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뇌파검사(EEG)와 안구운동검사(EOG)를 중심으로 본다.
-수면의 단계
(→REM-Rapid Eye Movement 안구를 빠르게 움직이는 단계
→NREM -Non-REM 안구를 빠르게 움직이지 않는 단계)
a. Awake
b.NREM 수면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c. REM:
-수면과 뇌파의 관계
수면 시
awake→stage1→stage2→stage3→stage4→stage3→stage2→[REM→stage2→stage3→stage4→stage3→stage2]→stage1→awake
[ ]부분 90~100분 주기로 반복
MEMO
→ 뇌파가 일정한 주기에 맞춰 잘 나타났다면 ‘숙면’ 판정
-수면과 안구운동의 관계
측정방법:
측정 시 나타나는 EOG 파형
② 무지개형
③ 벽부착형
안구운동검사를 통해 NREM 주기 인지 REM주기 인지 판정 가능
90~100분 간격으로 REM 나타난다면 ‘숙면’ 판정
마케팅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 디자인에 도움이 될 사항들을 설문지의 문항에 넣어 다수의 의견을 모은다.
① 스탠드형 MEMO
-설문조사 5번 문항(‘그 제품의 디자인은 어땠으면 좋을 것 같습니까’) 의 보기문항…(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