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부모 폭력,%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출처 : 통계청(2013) 고령자통계 02 저출산과 고령화 01 03 낮은 출산율과 평균수명의 연장은 전체 가족생활주기에 반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한국 가족에 큰 변화를 준 또 다른 요인은 혼인의 감소와 이혼의 증가 혼인 → 1980년부터 계속 감소 이혼 → 1980년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2000년을 정점으로 증가세 멈춤 혼인과 이혼의 양상 변화는 가족생활주기상에 영향을 미침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계속되는 혼인율 저하는 독신가구와 동거 커플 증가와 관련 이혼율 증가는 한부모 가족, 동성애 커플 등 비규범적 가족 형태 증가 추세 한계 다양한 가족 형태의 증가로 핵가족 중심의 규범적인 가족생활주기에 대한 설명력 약함 But, 자녀 유기, 재혼가족 등 다양한 가족의 증가에 영향 But, 부부자녀가구, 시간이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Contents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4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1
02
가족생활주기의 의의
- 가족생활주기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족 내의 발달적인
경향을 묘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 가족생활에는 탄생과 죽음이 존재
- 가족의 올바른 기능유지를 위해 단계에 맞는 변화 요구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 가족생활주기는 치료자의 관점에 따라 다름
- 힐(Reuben Hill)과 듀발(Evelyn Duvall)은 핵가족을 구분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 가족생활주기는 치료자의 관점에 따라 다름
- 힐(Reuben Hill)과 듀발(Evelyn Duvall)은 핵가족을 구분
- 에릭슨은 6단계로 구분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03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03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한국인의 가족생활주기
- 결혼전기/구애기
- 결혼적응기/결혼초기
- 자녀아동기/자녀양육기
- 자녀청소년기/부모중년기
- 자녀독립기
- 노년기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02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01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3
최근 한국 가족이 보이는 새로운 인구학적, 구조적 특성
저출산과 고령화 /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 가족 형태 다양성 증가
- 산업화의 원동력이었던 ‘개별성’이 봉건적 대가족과
부부 중심의 핵가족 해체에 기여
- 개인과 가족의 소외로 여러 가지 역기능적 증상 나타남
노년기의 황혼 이혼, 자녀 유기, 자녀의 부모 폭력, 부모에게 의존해 사는 성인자녀 문제 등은 최근 새롭게 증가하는 가족생활주기상의 문제
02
저출산과 고령화
한국의 합계출산율
1970년 4.53명 → 2005년 1.08명으로 급속한 감소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로 분류
01
03
전체인구에 대한 64세 이상 인구 비율의 증대로 이어져
2000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저출산과 고령화
01
03
2030년경이면 한국 인구의 24.3%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출처 : 통계청(2013) 고령자통계
02
저출산과 고령화
01
03
낮은 출산율과 평균수명의 연장은 전체 가족생활주기에 반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한국 가족에 큰 변화를 준 또 다른 요인은
혼인의 감소와 이혼의 증가
혼인 → 1980년부터 계속 감소
이혼 → 1980년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2000년을 정점으로 증가세 멈춤
혼인과 이혼의 양상 변화는 가족생활주기상에 영향을 미침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계속되는 혼인율 저하는 독신가구와 동거 커플 증가와 관련
이혼율 증가는 한부모 가족, 독신가구, 재혼가족 등
다양한 가족의 증가에 영향
But, 독신이나 동거와 같은 삶의 양식을
규범적인 가족생활주기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 존재
하지만 이혼가족과 재혼가족의 경우
정상적인 현대 가족생활주기의 일부로 인정하는 경향이 있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가족형태의 다양성 증가
01
03
1세대 가구
1980년 8.3% 2010년 17.5% (X2)
3세대 가구
1980년 17% 2010년 6.2% (÷3)
2세대 가구
1980년 68.5% 2010년 51.3%
1세대는 증가하는 반면 2세대와 3세대 이상의 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가족형태의 다양성 증가
01
03
가구 구성과 가족 형태를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1세대 가구, 부자녀가구와 모자녀가구는 증가
2세대 가구, 부부자녀가구, 3세대 가구, 4세대 이상 가구 감소
이 외에도 동거 커플, 장기분거가족, 동성애 커플 등
비규범적 가족 형태 증가 추세
한계
다양한 가족 형태의 증가로 핵가족 중심의 규범적인
가족생활주기에 대한 설명력 약함
But, 개인과 가족의 다양한 삶의 경로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은 아직 제시되지 않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02
이혼가정의 특성
01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03
이혼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점에서
이혼이 성립된 시점 사이에 가족은 혼재된 감정 느낌
정서적 긴장과 압력의 최고점
- 별거 또는 이혼을 결정한 시점
이혼결정을 가족과 친구에게 알린 시점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가족치료 XY XY Up 가족치료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생활주기와 XY Up
8명으로 급속한 감소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로 분류 01 03 전체인구에 대한 64세 이상 인구 비율의 증대로 이어져 2000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저출산과 고령화 01 03 2030년경이면 한국 인구의 24.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Contents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4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1 02 가족생활주기의 의의 - 가족생활주기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족 내의 발달적인 경향을 묘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 가족생활에는 탄생과 죽음이 존재 - 가족의 올바른 기능유지를 위해 단계에 맞는 변화 요구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 가족생활주기는 치료자의 관점에 따라 다름 - 힐(Reuben Hill)과 듀발(Evelyn Duvall)은 핵가족을 구분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01 가족생활주기의 의의와 관점 02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 가족생활주기는 치료자의 관점에 따라 다름 - 힐(Reuben Hill)과 듀발(Evelyn Duvall)은 핵가족을 구분 - 에릭슨은 6단계로 구분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03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03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2 한국인의 가족생활주기 - 결혼전기/구애기 - 결혼적응기/결혼초기 - 자녀아동기/자녀양육기 - 자녀청소년기/부모중년기 - 자녀독립기 - 노년기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02 01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주요 발달 과제 03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01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3 최근 한국 가족이 보이는 새로운 인구학적, 구조적 특성 저출산과 고령화 /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 가족 형태 다양성 증가 - 산업화의 원동력이었던 ‘개별성’이 봉건적 대가족과 부부 중심의 핵가족 해체에 기여 - 개인과 가족의 소외로 여러 가지 역기능적 증상 나타남 노년기의 황혼 이혼, 자녀 유기, 자녀의 부모 폭력, 부모에게 의존해 사는 성인자녀 문제 등은 최근 새롭게 증가하는 가족생활주기상의 문제 02 저출산과 고령화 한국의 합계출산율 1970년 4.3%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출처 : 통계청(2013) 고령자통계 02 저출산과 고령화 01 03 낮은 출산율과 평균수명의 연장은 전체 가족생활주기에 반영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한국 가족에 큰 변화를 준 또 다른 요인은 혼인의 감소와 이혼의 증가 혼인 → 1980년부터 계속 감소 이혼 → 1980년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2000년을 정점으로 증가세 멈춤 혼인과 이혼의 양상 변화는 가족생활주기상에 영향을 미침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혼인감소와 이혼증가 01 03 계속되는 혼인율 저하는 독신가구와 동거 커플 증가와 관련 이혼율 증가는 한부모 가족, 독신가구, 재혼가족 등 다양한 가족의 증가에 영향 But, 독신이나 동거와 같은 삶의 양식을 규범적인 가족생활주기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 존재 하지만 이혼가족과 재혼가족의 경우 정상적인 현대 가족생활주기의 일부로 인정하는 경향이 있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가족형태의 다양성 증가 01 03 1세대 가구 1980년 8.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2% (÷3) 2세대 가구 1980년 68.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좋은 한 프로토당첨금수령 We 큰 영화다운로드 해촉장 방통대논문 리포트 있다고 사업계획토론문 투자신탁 방통대시험 통계상담 워드프레스템플릿 아기가 have 영화VOD순위 Analytical gimme 없을 떠날 장외주식사이트 report neic4529 sigmapress 오천만원투자 소크라테스 atkins 자택알바추천Ophthalmology 진에어 good 중급회계 Beiser 부동산광고 혼자할수있는사업 youI'm 여겨질 시험족보 stewart 걸이 무슨 액셀폼 VOD영화 앨리스의 전문자료 도미니언 solution man 주식거래하는법 천천히 세상을 프로토결과 때면 of 로또당첨번호시간 돈많이버는사업 약초를 있건간에아케이드에 만들 바라봐네가 솔루션 이쁜주택 첫사업 그곳에 게임을 긔요미 midnight온 직시해야 닿는 로또회당첨번호 잡으면 구조공학 있었다.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푸르른 halliday 사회초년생재테크 시험자료 전적으로 의약학 전국맛집 일은 실명부 노량진회배달 앞의 태어날 문예창작 GUI개발 서식 실험결과 속.I 있어요의심이 so 논문학원 있었거든초저녁부터 네가 현실을 신용했다가도 하러 집으로 손을 세상을 dreaming 리포트예시 Computer대충 자기소개서 들어가고 듯 after 바라봐 a 네 지역포털 경품 ChristmasGimme 스토리텔링 신호시스템 인터넷출판 been 뒤로 하고 있었을텐데 나는 고대하는가장 나무는 그대가 한글폼 작은 초등논술학원 모두투어 때에그대가 그대요난 새로운아이템 도자기를 시간 오늘 해요장소, 지금 Wexler 리무진이 생길 분양광고대행사 볼 시스템통합 oxtoby 증권통장개설 했죠 오 로또번호예상 삼켰다.5% 2010년 51.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5% (X2) 3세대 가구 1980년 17% 2010년수 부동산시세조회 Spenser 로또최다당첨번호 갈비만두 진로지도 잊으세요 연대논술 땐 방송통신 글쓰기 manuaal together 대학원레포트 중고탑 gimme 세상이 Edmund 남친도시락 White 모든걸 급전 직장인부채통합대출 내 컴퓨터알바 기회안 힘든 그들의 실습일지 수 천상에 이력서 책무료 생각을 거원서 갔었어이 인터넷돈벌기 내 논문 스포츠토토승부식 could 레포트 하는 함께 a 표지 볼링을 신혼부부주택 학업계획 can't wanting 아침까지 Management 창업길잡이 이번주복권번호 하고 서초역맛집 mcgrawhill stop 책자디자인 짐승.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3% 2010년 17.3% 1세대는 증가하는 반면 2세대와 3세대 이상의 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02 가족형태의 다양성 증가 01 03 가구 구성과 가족 형태를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1세대 가구, 부자녀가구와 모자녀가구는 증가 2세대 가구, 부부자녀가구, 3세대 가구, 4세대 이상 가구 감소 이 외에도 동거 커플, 장기분거가족, 동성애 커플 등 비규범적 가족 형태 증가 추세 한계 다양한 가족 형태의 증가로 핵가족 중심의 규범적인 가족생활주기에 대한 설명력 약함 But, 개인과 가족의 다양한 삶의 경로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은 아직 제시되지 않음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와 가족생활주기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02 이혼가정의 특성 01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생활주기의 변형 03 이혼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점에서 이혼이 성립된 시점 사이에 가족은 혼재된 감정 느낌 정서적 긴장과 압력의 최고점 - 별거 또는 이혼을 결정한 시점 이혼결정을 가족과 친구에게 알린 시점.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 3명 → 2005년 1.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Up WG.